1. 가장 먼 여행
우리의 강의가 마중물이 되어 여러분이 발 딛고 있는 땅속의 맑고 차가운 지하수를 길어 올리게 되기를 바랍니다.
오랜 강의 속에서 터득한 경험 두가지
첫째는 교사와 학생이란 관계가 비대칭적 관계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옛날 분들은 가르치는 것을 깨우친다고 했습니다.
모르던 것을 이야기만 듣고 알게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이미 알고 있었지만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것을 불러내는 것입니다.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을, 자신의 배경지식과 연결하여 소화하는 과정
(비교, 대조하여 새로운 것을 이해하는 과정)
둘째는 설득하거나 주입하려고 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사람의 생각은 자기가 살아온 삶의 결론입니다. 나는 20년의 수형생활 동안 많은 사람들과 만났습니다. 그 만남에서 깨달은 것은 바로 그 사람의 생각은 그 사람이 걸어온 인생의 결론이라는 것입니다. 대단히 완고한 것입니다. 다른 사람이 설득하거나 주입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그렇게 때문에 강의의 목표는 ‘공감’입니다.
강의를 통해 전달되는 사상과 철학은 상대방에게 그대로 흡수되지 않는다. 경청자의 인생을 통해 습득된 배경지식과 버무려져 온전히 이해되어 소화되기는 힘들다. 다른 이의 생각과 의견을 받아들이기에는 저마다의 개똥철학의 토양이 다른 씨앗의 뿌리내림을 허용하기에 너무 척박하다.
공감은 당신도 그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걸 확인하는 과정이며, 이것은 뭉크한 위로가 됩니다. 위로가 되고 격려가 되고 약속이 됩니다.
피쿸로스는 우정일란 음모라고 합니다 음모라는 수사가 다소 불온하게 들리지만 근본은 공감과 다르지 않습니다.
정작 불온한 것은 우리를 끊임없이 소외시키는 소외구조 그 자체입니다.
그러한 현실에서 음모는 든든한 공감의 진지입니다. 소외 구조에 저항하는 인간적 소통입니다. 글자 그대로 소외를 극복하는 것입니다.
책은 2~3년 전의 생각이고, 강의는 어제 저녁의 생각이라고 합니다.
계몽주의는 상상력을 봉쇄하는 노인 권력입니다.
생생불식生生不息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 온고보다 창신이 여러분의 본령입니다.
생생불식(生生不息)은 중국 도가의 술어로, 변화하여 새로운 사물을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정지하지 않고 부단히 생장한다는 뜻이다. 집단체의 변화와 새로운 사물을 발생하는 일이 정지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주역, 계사전>의 "생생지위역(生生之謂易)"에서 나온 말이라고 한다.
우리의 강의는 우연의 점들을 찍어 갈것입니다.
여기 저기 우연의 점들을 찍어 나가다 그것이 서로 연결되어 선이 되고 인연이 됩니다.
그리고 인연들이 모여 면이 되고 장이 됩니다.
친구가 될 수 없는 자는 스승이 될 수 없고, 스승이 될 수 없는 자는 친구가 될수 없다
함께는 지혜입니다.
영국의 과학자이자 우생학의 창시자, 프랜시스 골턴이 여행 중 시골의 가축 품평회 행사를 보게 됩니다. 그 행사에는 소의 무게를 알아맞히는 대회가 열리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표를 사서 자기가 생각하는 소의 무게를 적어서 투표함에 넣는 것입니다. 나중에 소의 무게를 달아서 가장 근접한 무게를 써 넣은 사람에게 소를 상품으로 주는 행사였습니다. 골턴은 사람들의 어리석음을 확인하는 재미로 지켜보았습니다. 물론 정확하게 맞춘 사람은 없었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800개의 표 중 숫자를 판독하기 어려운 13장을 제외한 787개의 표에 적힌 무게를 평균했더니 1,197파운드였습니다. 실제로 측정한 소의 무게는 1,198파운드 였습니다. 군중을 한 사람으로 보면 완벽한 판단력입니다. 우파 우중론자인 골턴에게는 충격이었습니다. 집단의 지적능력(collective intelligence)과 민주주의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