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꾸이년(Quy Nhơn)의 고대문명

베트남 이야기

by haijun93 2022. 11. 19. 22:29

본문

꾸이년(Quy Nhơn)의 고대문명

기원전 1000년부터 서기 1471년까지 (사인후 문화 - 동선 문화 - 참파 문명)

참고자료
  • 송정남(2018). 베트남 역사탐구.서울: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 유지선(2002). 새로  베트남의 역사.서울:이산
  • 외교부(2013). 베트남 개황. 서울:외교부(남아시아태평양국 동남아과) 
  • 누리집 https://quynhontourist.com

사후인 문화(Văn hóa Sa Huỳnh)

 꾸이년(Quy Nhơn) 도시문명을 잉태하고 베트남 역사무대에 처음으로 등장한 시기는 기원전 1,000년 쯤이다. 지금의 다낭, 꾸이년, 나짱 베트남 중남부지역에는 거주하던 사후인들이 문명을 일으켜 청동기시대초기부터 철기시대까지(기원전 1000년부터 기원후 1~2세기)  번영하였다. 이를 사후인 문화라고 한다.   

 사후인문화의 대표적 특징은 장래 문화이다. 사람이 죽으면 화장하여 뼈와 재를 장식품과 함께 항아리에 담아 안장하였다. 사후인문화는 도시문명을 발전시키며 지역간 연합과 통합을 토대로 거대 부락을 형성하였고 마침내 두개의 집단 까우(Cau: 빈랑) 부락과 즈어(Dừa: 야자수) 부락을 이루게 되었다. 까우 부락은 지금의 베트남 푸옌(Phú Yên)에서 투언 (Bình Thuận) 중심으로, 즈어 부락은 지금의 다낭(Đà Nẵng) 빈딘(Bình Định)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이후 부족은 병합하여 오늘날 (Chăm)족의 선조가 되어 베트남 중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찬란한 참파문명을 꽃피웠다.

 

 

※ 빈랑(Cau) 태평양 연안, 동남아시아, 동아프리카 열대지방 일부에서 자라는 종려나무의 일종.

※ 즈어(Dừa)는 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잎이 넓고 길며 키가 큰 나무.

 

 반랑열매

 그들이 까우(Cau) 즈어(Dừa)라는 부족이름을 사용한 것으로 것은, 까우나무와 야자나무를 매우 중요시 했기 때문이다. 이들 나무에서 먹을 것과 즐길 것을 얻었기 때문인데,  특히, 까우나무에서는 우리에게 낯선 ‘빈랑열매’를 얻는다. 빈랑열매를 마치 껌처럼 입속에서 질겅이며 씹는 문화가 있었는데, 빈랑열매를 질겅이다보면 치아와 혀가 검붉게 변한다. 이를베텔 씹기(betel chewing)’ 문화라고 하는데, 빈랑열매와 생석회, 향로(정향, 장뇌, 사향, 육두구, 후추, 생각, 게피 ) 등을 넣어 둥글게 씹는 담배를 즐기는 것을 가리킨다. 베텔을 입에 넣어 씹으면 입안에서 상쾌한 기분과 청량감을 준다고 한다. 

기원전 3,000년전에 시작되어 현대에 이르기까지 생명력을 이어오며 동남아시아에서 널리 대중문화로 자리잡은 유서깊은 전통문화이다. 베텔 씹기 문화는 베트남과 중국, 대만, 태국, 라이스, 필리핀 동아시아를 비롯하여 인도와 스리랑카 지역까지 널리 향유되고 있다. 

 

동선 문화(Văn hóa Đông Sơn)

 빈딘성을 포함한 베트남 중남부 지역에서 사후인 문화가 꽃피웠다면, 홍강과 하노이를 주무대로 하는 베트남 북부지역에는 동선문화라 일컬어지는 선사 청동기문화가 번영하게 된다. 동선문화는 베트남 민족의 원류라고 부르는 비엣족이 응우옌(Phùng Nguyên, 2,000 ~ 1,500 BC)문화로 시작해 동더우(Đồng Đậu, 1,500 ~ 1,000 BC), 고문(Gò Mun, 1,100 ~ 800 BC)문화를 거치면서 형성된 베트남 만의 독창적인 청동기문화이다. 문화는 기원전 1,000년에서 3세기까지 중국, 인도, 말레이 반도 주변 지역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쳤다.

반응형

 동선문화의 대표적 유물은 청동으로 제작된 ‘동선북’이다. 중앙의 태양을 중심으로 원형을 그리며 , 배를 타는 사람들, 축제를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 다양한 장식 문양들이 새겨져 있어 그당시 베트남인들의 삶을 엿볼수 있다.

 

 청동북은 규모가 크고 표면에 정교한 문양이 새겨져 있어 연금술에 대한 상당한 지식과 숙련된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완성되기 어렵다. 동선문화의 절정기에 제작된 청동북은 독특한 외형과 함께 표면에 새겨진 정교한 문양들이 아름다워 자체로도 높게 평가되지만 한편으로는 중국에 영향받지 않고 독창적인 청동문화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베트남 고대문명의 자주성과 우수성을 강조할 있는 대표적 상징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청동북은 베트남의 관공서에 주요 인테리어로 널리 사용된다. 꾸이년인민위원회 청사 2층에 소재한 접견실의 중앙 벽면을 차지하고 있는 원형동판이 바로 청동북의 문양을 그대로 따온 것이다. 

 

참파 문명(Chăm Pa)

 기원전 1,000년부터 베트남 중남부 지역을 터전 삼아 사후인 문화를 일구었던 까우(Cau) 부족과 즈어(Dừa) 부족은 인도의 힌두교를 적극 수용하며 참파문명을 개화시킨다. 

베트남 역사에서 참파란 이름이 본격 등장한 시기는 베트남 북부와 중부지역을 식민통치하던 중국의 지배에 맞서 서기 192 참족들이 항거하며 오늘날의 꾸앙남성(Quảng Nam)에서 빈딘성(Bình Định) 이르는 베트남 중남부지역을 기반으로 독립국가를 건국하면서 부터이다. 

 이들은 자신들이 세운 도시국가의 이름을참족의 도시라는 의미의 산스크리트어로 참파푸라(Champapura)라고 지었다.  또한 까우 부족과 즈어 부족이 통합되면서 스스로를 참족이라 칭하였는데, (Chăm) 향기가 좋아 종교행사에 많이 사용되던 참파카초령목(참복나무, Magnolia champaca) 나무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참파 문명은 6개의 주요 도시로 이루어졌다. 미선, 안드라푸라, 아마라바티, 비자야는 까우 부족이 중심이 되어 건설하였고, 카우타라와 판두랑가는 즈어 부족이 중심이 되어 건설하였다.

 

참파의 주요도시

도시명 도시명 의미 현재의 도시명 주요 유적과 특징
미선
Mỹ Sơn
아름다운 꾸앙  
Quảng Nam
-4~13세기까지 참파 왕국 중심지
-1999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
인드라푸라
(Indrapura)
인드라(폭풍과 전쟁의 신으로서 신들의 ) 도시 다낭, 호이안
Đà Nẵng, Hội An 
-875-982년까지 참파 왕국 수도

-
미선(Mỹ Sơn) 유적지
아마라바티
(Amaravati)
불멸의 장소 꽝응아이
Quảng Ngãi
- (Chánh Lộ) 유적지
비자야
(Vijaya)
승리 꾸이년
Quy Nhơn
-982~1471년까지 참파 왕국 수도
-탑맘(Tháp Mam), 또이(Tháp Đôi)
카우타라
(Kauthara)
신의 아름다운 냐짱
Nha Trang
- 나가르(Po Nagar) 유적지
판두랑가
(Panduranga)
힌두교 신의 이름
(White God)
판랑 
Phan Rang
-참파 왕국 최후의 수도
-판랑참탑(Phan Rang Tháp Chàm) 유적지

 6개의 도시 미선을 제외한 나머지 5개의 도시이름은 산스크리트어로 작명되었다. 참파는 지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중계무역을 활발히 펼치며 부를 축적하였다. 북쪽의 남비엣(북베트남의 비엣족 왕조)와 중국 그리고 인도차이나와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을 비롯하여 인도에 이르기까지 광활한 해상무역로를 개척하여 운영하였다. 참파의 무역항들은 다양한 문화와 종교의 용광로와 같은 역할을 하여 참파 문명 발전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그 결과 4-14세기 동안 참파의 영향권에 있던 베트남 해안도시들을 중심으로 힌두교에 정신적 뿌리를 독특한 문화가 발달하였다. 참파의 대부분 유적들은 오랜 전쟁 등으로 인해 많이 파괴되어 보존되지 못하였지만 미선 지역에 남아있는 유적지들은 1999 유네스코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보존가치를 높게 평가받고 있다.

 

붉은 벽돌의 탑참(Tháp Chăm)

 참파 문명의 대표적 유물은 붉은 벽돌로 건설한 (Tháp)이다. 참파 문명의 유적이라는 의미로 보통 탑참(Tháp Chăm)이라고 한다. 이러한 탑참들은 10세기부터 13세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세워졌기 때문에 다양한 건축 양식이 적용되었다. 주요특징은 구운 붉은벽돌이 사용되었고, 돌기둥이 있으며 얕은 돋을 새김으로 힌두 신화를 묘사한 사암으로 장식된 등이다.

 주탑(主塔, kalan) 우주의 중심에 있는 신성한 (meru) 상징한다. 인간 세계를 표현한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모양의 기단(bhurloka) 벽돌이나 블록으로 만들었으며 부조(浮彫) 장식되어 있다. 위에 전용 기둥이 있고 동쪽으로 가짜 문이 달려 있으며 전체가 벽돌로 쌓은 주탑이 솟아 있다.

 내부 장식으로는 등잔을 놓는 작은 벽감(壁龕)들이 있으며 소박하다. 시바링검(Shivalingam, 男根) 중앙의 대좌(臺座) 자리하고 있다. 이것은 영적 세계를 형상화한 것이다. 탑들은 프리즈(frieze, 모양의 장식) 장식으로 지붕(suarloka) 분리되었다. 이와 같은 양식의 지붕들은 원래 금박이나 은박으로 덮여 있었다. 초기 참파 문명의 종교적 정치적 수도였던 미선(Mỹ Sơn)지역의 대규모 사원 건축과 조각들은 힌두교의 종주국인 인도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만들어 졌다. 

 

빈딘성의 대표적 탑참 유적

 꾸이년시는 982년부터 1471년까지 약 5백년동안 참파 왕국의 수도로 번영하였다. 덕분에 꾸이년을 중심으로 빈딘성 전역에는 참파 문화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 있으며, 대표적 탑참(Tháp Chăm)유적지는 아래와 같다. 

1. 탑 빈람(Tháp Bình Lâm)
꾸이년에서 22km 떨어진 뚜이푸옥(Tuy Phước) 위치에서 10세기 후반에서 11세기초 건설되었다. 대부분의 탑참이 언덕 높은 곳에 건설되는데 비하여, 넓은 평지에 주변 자연 환경과 조화로운 형태로 지어졌다. 하나의 탑만 존재하며 10m 정사각형 구조에, 높이는 20m, 몸체는 3 적층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노란 벽돌이 사용된 점이 특징이다. 1993년에 국가건축예술 유적으로 지정되었다.

2. 반잇(Tháp Chăm Bánh Ít)
꾸이년에서 20km 떨어진 곳에서 11세기 후반에서 12세기 초에 건축되었다. 4개의 탑이 각기 다른 위치에 조화롭게 건설되었다. 삼각형모양의 베트남 전통 찹쌀 떡인 반잇(Bánh Ít) 닮았다고 하여, ‘ 반잇이란 별칭이 있다. 프랑스 유적발굴단은 햇빛을 받아 아름답게 빛난다는 의미로 은탑(Silver Tower)라고 이름 붙였다. 1982년에 국가건축예술 유적으로 지정되었다.

3. 띠엔(Tháp Cánh Tiên)
꾸이년 북쪽방향의 안논(An Nhơn) 1306년에 건축되었다. 탑의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4개의 계층이 있으며, 계층에는 날아가는 새의 날개를 닮은 장식 모서리가 있어요정 날개 타워라는 별칭을 얻었다. 참파 왕국의 (자야 심하바르만 3, Jaya Sinhavarman iii) 남비엣의 후엔 (Huyền Trân) 공주를 왕비로 맞이하며 선물로 건설하였다고 한다. 1982년에 국가건축예술 유적으로 지정되었다.

사랑과 평화를 기원하며 건설된, 띠엔(Tháp Cánh Tiên)

 원나라(몽골)이 시행한 차례의 대규모 베트남 원정을 성공적으로 물리친 남비엣(쩐 왕조)는 오랜 경쟁관계에 있던 남쪽의 참파 왕국과 평화관계를 모색한다. 1258년부터 1294년까지 약 36년동안 치러진 원나라와의 전쟁으로 인명피해와 농토가 피폐해 졌으며, 1290 가을부터 2년동안 기근이 닥치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굶주림에 고통을 겪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왕위에 오른 아인 (Trần Anh Tông) 오랜 경쟁관계에  있던 남쪽의 참파 왕국과 평화관계를 맺고자 했는데 그결과, 비엣남의 후엔 (Huyền Trân) 공주와 참파왕국의 자야 심하바르만 3(Jaya Sinhavarman iii)간의 정략결혼이 추진된다.

 참파왕국는 정략결혼의 대가로 참파 문명의 초기 중심지이자 넓은 곡창지대를 갖고있는 후에(Huế)지역의 일부를 비엣남에 할양한다. 또한 참파의 심하바르만 3세는 후엔 공주를 위하여 탑깐띠엔(Tháp Cánh Tiên) 건립하여 헌사하였다. 탑깐띠엔은 참파와 비엣남의 왕조가 사돈관계를 맺고 오랜 갈등과 대립의 관계를 청산하고 평화시대를 열어가기위한 바람과 함께, 낯선 나라로 시집을 비엣남의 공주의 불안한 마음을 달래고 사랑을 표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따라서 종교적 목적으로 제작된 다른 탑참들과 달리 문양과 조각들이 화려하고 세련되다.  

 결혼당시 심하바르만 3세는 80세가 넘는 상태였다. 하지만 후엔 공주는 조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하여 순순히 정략 결혼에 응하였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심하바르만 3세는 결혼한지 년만에 지병으로 사망하면서 나라의 평화를 깨는 비극이 시작된다.

참파 왕국은 힌두교의 풍습에 따라 남편이 죽으면 아내를 남편과 함께 순장하였다. 참파 왕국은 후엔 왕비에게 왕의 시신이 화장되는 장작더미 위해서 스스로 분신 왕과 함께 순장될 것을 요구하였다. 이에 후엔 왕비는 긴급히 비엣남에 구원요청을 하였고 불교가 국교이던 비엣남의 쩐왕조는 힌두교의 순장풍습에 따라 후엔 왕비가 죽어야 한다는 사실을 도저히 받아들일 없었다. 이에 원나라와의 전쟁에서 공을 세웠던 유능하고 용맹한 장군인 쭝(Trần Khắc Chung) 조문단으로 파견하여 구출을 시도한다. 그는 비엣남의 전통에 따라 후엔 왕비가 바닷가에서 자결 왕과 함께 화장을 해야 한다고 거짓주장하여 참파왕국를 속인 , 장례식 전날 밤에 공주와 함께 바닷가에 비밀리에 정박해있던 배를 타고 탈출에 성공한다. 

 자야 신하바르만 3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자야 신하바르만 4세는 후엔 공주가 순장을 피해 도망한 것을 근거로 선왕의 혼인이 무효임을 주장하며 정략결혼의 대가로 비엣남에 할양하였던 후에 지역을 되찾기 위해 비엣남을 자주 공격하였다. 

이에 맞서 비엣남의 왕조는 1312 대규모 원정군을 보내 참파 왕국의 수도인 비자야를 점령하고 왕을 생포해 항복을 받아낸다. 하지만 이후에도 참파 왕국은 쉽게 굴복하지 않고 비엣남과 대립각을 세우며 후에 지역의 영토 수복을 위해 계속적으로 시도한다. 

후엔 공주가 겪은 극적인 삶은 많은 베트남 문학가들에게 깊은 영감을 주어 노래, , 소설과 창극 다양한 문학형태로 창작되었다. 또한 그녀의 정략결혼을 통해 획득된 후에의 곡창지대로 기근에 시달리던 많은 백성들이 구율된 점을 높게 평가하여 오늘날 꾸이년시를 비롯한 많은 도시들에서 그녀의 이름을 도로명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4. 으엉 (Tháp Chăm Dương Long)
꾸이년에서 50km 떨어진 떠이선(Tây Sơn)지역에 12세기 후반에 건설되었다. 3개의 타워로 구성되며, 중앙의 높이는 40미터, 측면의 개의 높이는 38미터다. 베트남에 남아 있는 참파 문명의 탑참 가장 높이가 크며, 화려하면서 섬세한 조각 문양으로 인해 가장 아름다운 탑참으로 평가받는다. 1980년에 국가건축예술 유적으로, 2015년에는 국가특별기념물로 각각 지정되었다.

5. 푸록(Tháp Phú Lốc)
크메르 문명의 앙코르 건축 양식에 영향을 받아서 12세기에 건립되었다. 해발 76m 언덕 위에 위치하여 마치 거대한 등대와 같다고 하여 황금 (Golden tower)라는 별칭이있다. 12세기에 참파문명은 경쟁관계에 있던 크메르 문명으로부 건축양식에 많은 영향을 받아 탑참을 건설하였다. 꾸이년에서 북쪽으로 35km 떨어진 안논(An Nhon) 위치해 있으며, 1995년에 국가 건축예술 유적으로 지정되었다.

6. 티엔(Tháp Thủ Thiện)
꾸이년에서 북서쪽 35km 떨어진 떠이선(Tây Sơn)지역에 11세기에 건립되었다. 탑참의 전형적 구조인 정사각형의 3 적층구조를 가지며 하나의 타워만 존재한다. 참파문명의 초기 건축양식과 빈딘성 고유의 건축양식이 혼합되어 있으며, 1995년에 국가건축예술 유물로 지정되었다.

7. 추옹(Tháp Hòn Chuông) 
빈딘성 푸켓(Phù Cát)지역에 위치한 해발 720미터의 (Ba)산의 꼭대기에 건설되었다. 산의 대부분이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정상으로 갈수록 가파르고 험준한 지형을 갖추고 있는데, 산의 정상은 49미터 높이의 거대한 바위를 올려놓은 듯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탑참은 바로 위에 건설되어있다.  4미터의 정사각형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탑의 상층부가 대부분 파손되어 현재 5미터 높이의 몸체만 남아 있다.     

8. 도이(Tháp Đôi)
퀴논 시내에 위치한 유일한 탑참으로 12세기 후반에 건설되었다. 각기 다른 모양과 크기를 가진 두개의 탑으로 이루어져 있어쌍둥이 이라고도 불린다. 탑의 모서리 부분에는 춤을 추는 무용수와 힌두교의 하누만 , 가루다 등의 조각들로 장식되어있다. 탑은 높이가 20미터이고, 작은 탑은 18미터이며, 1980년에 국가건축예술 유물로 지정되었다.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 도이(Tháp Đôi)

 탑 도이는 개의 탑이 사이 좋게 가까이 건축되어있어 사랑하는 부부의 모습이라고 여겨진다. 내부에는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조형물인 링가(Linga) 요니(Yoni) 놓여 있다.

 링가는 힌두교의 최고신인 시바신의 남근을 상징한다. 요니는 시바신의 부인인 사티의 여근을 상징한다. 힌두교에서 풍요와 다산을 기원할때 링가와 요니를 형상화한 조형물을 만들어 종교행사에 사용한다. 

 링가와 요니의 조형물 하단부에는 사각형 모양을 검은 빛깔의 반석(盤⽯) 놓여있고, 위에는 프라이팬이 연상되는 요니가 있으며 요니의 바깥 테두리를 나가(Naga) 형상이 감싸듯 장식되어 있다. 인도 신화에서 나가(Naga) 대지의 보물을 지키는 신격의 힘을 소유한 뱀이다. 그리고 위에는 거대한 달걀을 세운듯한 모양을 링가가 있다.

 링가와 요니를 통해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의식은 간단하다. 링가 위에 물을 붓고 요니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 손과 얼굴을 씻으면 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