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반차이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별반차이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742)
    • 잡학공부 (21)
    • 영어 이야기 (391)
    • 베트남 이야기 (31)
    • 오늘 한문장 (58)
    • 알면 유익한 (89)
    • 오이삼씨 근무일지 (3)

검색 레이어

별반차이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잡학공부

  • 사회현상을 정의하는 <용어>선택의 중요성

    2022.11.06 by haijun93

  • 리턴 투 스페이스(Return to space)

    2022.10.24 by haijun93

  • 꿈, 렘 수면, 그리고 악몽

    2022.10.24 by haijun93

  • 헤드스페이스 : 명상이 필요할때

    2022.10.24 by haijun93

  • THE PARADOX OF CHOICE 선택의 역설

    2021.06.24 by haijun93

  • 스토리텔링의 핵심

    2018.09.17 by haijun93

  • 쑨원 vs 위안스카이

    2016.09.26 by haijun93

  • 무심코 던지 CEO의 한마디

    2016.09.22 by haijun93

사회현상을 정의하는 <용어>선택의 중요성

#1 사고(事故)와 참사(慘事), 국어사전에 따른 뜻 풀이는 다음과 같다.  사고(事故) : 평시(平時)에 있지 아니하는 뜻밖의 사건참사(慘事) : 비참하고 끔찍한 일 사고는 일반적 질서나 규칙에서 벗어나 비규칙적으로 발생한 사건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반면, 참사는 참혹할 참(事)을 사용하여, 사고가 불러일으킨 비통한 마음까지 표현한 단어이다.  우리의 삶에서, 그리고 우리의 사회와 국가 차원에서 보면, 일반적인 질서나 규칙에서 벗어난  뜻밖의 사건은 하루에도 헤아릴 수 없이 많이 발생한다. 하지만 우리에게 비통함을 불러일으키는 일(事)은 과연 하루에, 한달에, 1년에 몇이나 될까? 10월29일, 이태원에서 발생한156명의 죽음 앞에 비통함을 느끼지 못하는 자그들은 ‘사고'라 부른다. 감정과 공감능력을 ..

잡학공부 2022. 11. 6. 14:42

리턴 투 스페이스(Return to space)

#리턴 투 스페이스 return to space일론 머스크와 스페이스X엔지니어들의 우주발사체 개발에 관한 이야기다. 실패의 연속 끝에 성공을 이뤄낸다. 그 과정이 인상적이었다. 3번의 실패 그리고 마지막 1번의 발사기회. 일론 머스크는 스페이스X의 연속되는 우주발사체 발사 실패에 따라 파산 직전까지 몰린다. 개인사에서는 이혼을 당하는 아픔도 겪었다. 하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는다. 마지막 기회.  남은 자본을 모두 끌어와, 마지막 한발의 우주발사체 발사를 준비한다. 결과론적으로 그 마지막 기회 마저 실패하였다면, 더이상의 시도는 할 수 없었을 자금 상태였다고 한다.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로 유명하다. 페이팔 창립멤버로서 페이팔 매각후 부를 이루었다. 그는 전기자동차의 개발로 산업의 흐름을 바꾸었다. 일론 ..

잡학공부 2022. 10. 24. 08:35

꿈, 렘 수면, 그리고 악몽

2022.10.23. #꿈 난 꿈을 거의 기억하지 못한다. 하지만 10대 시절 자주 꾸던 악몽은 내 기억 속에 오랜동안 흔적이 남아 있다. 어릴적, 반복해서 꾸었던 꿈이 있다. 바다, 그 깊이를 헤아릴 수 없어 수면 아래가 암흑이다. 난 바다 수면 위에 놓여있는 징검다리위에 위태롭게 서 있다. 주위는 고요하고, 내 발밑으로 거대한 검은 그림자의 움직임을 느낀다. 식은 땀을 흘리며 꿈에서 깬적도 많았다. 청소년기에 끊질기게 괴롭히던 이 악몽은 20대가 되어서야 끝이 났다. 꿈은 때론 신의 계시라고도 믿어졌다. 꿈은 때론 소화불량의 한 증상이라고도 믿어졌다. '크리스마스 캐롤'이란 소설에서 스쿠르지는 죽은 친구 말리의 유령을 마주하며, 소화불량 때문에 유령을 보인다고 말한다. 그당시 사람들은 그렇게 믿기도 ..

잡학공부 2022. 10. 24. 08:31

헤드스페이스 : 명상이 필요할때

2022.10.22.생각해보니 오래 전 부터였다. 불안감, 긴장감, 압박감은 언제나 주위를 맴돌았다. 아침에 눈을 뜨면, 머리 속이 혼란스러웠다. 마치 시끄러운 소음이 들리듯 이런 저런 생각들이 비명을 질렀다. 그 울림이 대단하여 내 몸이 부르르 떨리곤 했다. 이따금 숨이 차 오르기도 했다.이상하게도 사무실에서 업무를 시작하면, 요란하던 스트레스 상황은 아침햇살에 사라지는 아침 안개 마냥 종적을 감춘다. 그러곤 다시 잠이 들 시간이 다기오면, 어둠처럼 슬그머니 다가온다. 잠들기 전까지 다시 마음 속이 소란스럽다.  우연히 넷플릭스를 뒤적거리다, "헤드스페이스: 명상이 필요할때"를 발견하였다. 정말 가볍게 영상을 클릭했다.  큰 기대도 없었다. 명상? 눈감고 호흡하는 거 아닌가 싶었다. 잠들기전, 20분 ..

잡학공부 2022. 10. 24. 08:28

THE PARADOX OF CHOICE 선택의 역설

□제목 : THE PARADOX OF CHOICE (선택의 역설) □영상 : https://www.ted.com/talks/barry_schwartz_the_paradox_of_choice/transcript?language=en#t-46887  Transcript of "The paradox of choice"TED Talk Subtitles and Transcript: Psychologist Barry Schwartz takes aim at a central tenet of western societies: freedom of choice. In Schwartz's estimation, choice has made us not freer but more paralyzed, not happier but..

잡학공부 2021. 6. 24. 11:14

스토리텔링의 핵심

스토리텔링의 핵심은 상징을 잘다루는 것이다. 상징은 메시지의 함축이다. 상징들의 배열이 스토리이다. 상징이 대중으로부터 쉽게 읽힐수록 메시지의 전달력은 강해진다. 상징은 먹물처럼 물에 떨어져 파장을 일으키며 물의 색을 바꾼다. 또한 스토리테링의 핵심은 비유법을 잘 다루는 것이다. 신의 섭리가 명쾌한 비유법을 통해 어린아이도 이해가능한 세상의 이치로 쉽게 풀이되듯 복잡한 현상을 설명할때 익숙한 일상의 소재와 쉬운 언어를 고르고 또 골라 한번에 이해 가능하도록 비유법을 다듬어야 한다. 난해한 현상의 핵심을 찌른 것이 상징이라면, 현상의 난해함을 단순화시키는 것이 비유법이다.

잡학공부 2018. 9. 17. 22:00

쑨원 vs 위안스카이

위안스카이 22세 때 양부의 친구 우창칭 휘하에 들어가 군인의 길을 걷기 시작 청나라 거물 정치가 이홍장의 참모 1882년 조선에서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청이 파견한 군대와 함께 조선에 입국 1884년 12월 4일 갑신정변 발발 이후 군대를 이끌고 주동자 전격 진압 '주차조선총리교섭통상사의'등극, 조선 내정에 간섭 쑨원 2년간 개업의로 활동하다 혁명에 뜻을 두고 반청운동 가담 1895년 10월, 광저우에서 계획한 무장봉기가 밀고로 무산된 이후 해외망명생활 본격화 생의 전환점이 된 해외생활 조선에서 12년간 무소불위의 권력을 누리고 1894년 청일전쟁 수일 전 귀국 열강의 각축 속에 갖은 책략이 난무하던 조선에서 권력의 속성 체화 망명생활 동안 민주주주의에 대한 신념과 서구적 가치관 학습 청나라로 돌아온 위..

잡학공부 2016. 9. 26. 12:11

무심코 던지 CEO의 한마디

리더의 말은 사소한 말, 지나가는 말도 조직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직원들이 리더의 말을 오해하면, 업무 혼선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액의 투자, 내가 지시했다고? 골드만삭스에 부임한 CEO 밥 루빈, 어느날, 거액이 금(Gold)에 투자된 사실을 발견합니다. "어떻게 된 일이에요?" "사장님이 지시하신 건데요." "내가?" "..." 어느날 CEO 밥 루빈이 "금이 흥미로워 보이는데?" 라고 말하자, 이후 CEO가 금을 좋아한다는 소문이 확산되고, 거액이 금 투자비로 집행된 것이었습니다. 대부분의 직원은 상사의 말 한마디를 해석하기 위해 노력하고 상사의 의중에 맞게 업무를 추진하려 노력합니다. 명확히 지시하라 CEO에게 '지나가는 말'이란 없습니다. 의도치 않은 일이 발생한 후 '그런 ..

잡학공부 2016. 9. 22. 21:5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별반차이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